🔔 정보를 사용함에 있어 생기는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으며, 작성자는 어떠한 경우라도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-
Q. 이민 시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하나요?
Q. 출국 시 종합소득세 신고 언제까지 신고해야 할까요?
1년 간(01.01 - 12.31) 종합소득금액이 있는 사람은
다음 연도 5월 내에 종합소득세를 신고 및 납부하여야 합니다.
단, 성실신고확인서 제출자는 6월 30일까지입니다 😮
보통 소득은 이자소득, 배당소득, 사업소득, 근로소득, 연금소득, 기타소득 이렇게 나뉩니다.
어떠한 사람은 1개의 소득만 있을 수 있지만 2개 이상의 소득을 가진 사람도 있을겁니다.
이러한 소득을 합산하여 5월 달에 신고하는 게 종합소득세 신고입니다.
오로지 근로소득 1개만 있는 사람이나 일용직 소득만 있는 사람,
기타소득이 연 300만원 이하인 자(분리과세를 원하는 경우)는 따로 해당 사항은 없습니다 -
참고로, 한 곳에서 근로소득만 있다면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하여 신고납부의무가 종료가 됩니다
다만, 연말정산 기간 동안 제출하지 못하거나 잘못 반영한 자료가 있다면 5월 달에 정정할 수 있습니다 :ㅇ
종합소득세는 01.01 - 12.31까지 근로, 사업 등 소득을 합산하여
다음 해 05.01 ~ 05.31까지 신고 납부해야 한다고 위에서 설명했죠 -?
그럼 출국, 이민으로 인해 그때 신고 못하는 경우는 어떻게 할까요? 😮
이럴 때는 01.01 ~ 출국일까지의 과세기간에 대한
종합소득세를 출국일 전날까지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. 😮
만약 2023년 1월 31일 날 출국을 한다면, 아래와 같이 2개의 과세기간을 신고 납부하여야 합니다.
귀속년도 | 기간 | 신고납부일 |
2022년 | 22.01.01 - 22.12.31까지 소득 | 출국일 전날까지(2023.01.30) |
2023년 | 23.01.01 - 23.01.30까지 소득 | 출국일 전날까지(2023.01.30) |
소득세법 제74조 [과세표준확정신고의 특례]
종종 급하게 출국/이민을 떠나게 되면, 세금 신경을 놓치는 경우가 흔-히 있습니다.
거주자뿐만 아니라 출국/이민으로 비거주자가 되더라도
국내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하여는 신고/납부 의무가 있습니다. 😊
제 때 신고했다면 경비를 반영해서 세금이 안 나오는 경우도 있을 거고
제 때 신고했다면 세금 자체가 크지 않을 수도 있는데,
아예 신고를 하지 않는다면 무신고 가산세 및 납부불성실 가산세까지 부담하셔야 합니다 -
국내를 떠난 기간도 가산세 계산 날짜에 포함되니
꼭 유의하셔서 세금 신고하시고 떠나셔야 합니다 😥
간이과세자로 변경하고 싶어요
Q. 실수로 간이과세자로 사업자를 냈어요 Q, 일반과세자인데 간이과세자로 변경 가능한가요 Q. 신규사업자는 전환 기준이 어떻게 될까요 ㅣ간이과세자 전환 기준은? 직전연도 공급대가 합계액이
ninis2.tistory.com
회사를 다니는 데 사업자를 내도 되나요? (tistory.com)
회사를 다니는 데 사업자를 내도 되나요?
Q. 회사를 다니면서 사업자를 내도 되나요? Q. 회사를 다니면서 겸업을 해도 되나요? Q. 직장 다니며 사업자를 내도 될까요? ㅣ 회사를 다니는데 사업자 내도 되나요? 투잡 시대인 지금 본업은 두
ninis2.tistory.com
[부가세/종합소득세] 적격증빙이 무엇인가요? 가산세는? (1) | 2022.12.14 |
---|---|
[사업자등록]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차이는 무엇일까? 무엇이 유리할까? (2) | 2022.12.05 |
간이과세자로 변경하고 싶어요 (0) | 2022.11.29 |
회사를 다니는 데 사업자를 내도 되나요? (0) | 2022.11.26 |
근로소득 사업소득으로 신고해도 될까요? 🍏 (0) | 2022.11.25 |
댓글 영역